게임이란 본질적으로 디지털 세계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게임사들이 물리적 공간에 대한 투자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점은 꽤 흥미로운 변화다. 특히 글로벌 시장을 노리는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서울 핵심 지역에 사옥이나 체험형 공간, 복합문화시설 등을 매입하고 직접 운영하는 방식은 단순한 브랜드 PR 차원을 넘어, 공간 자체를 수익화하는 새로운 전략으로 확장되고 있다.
다음 레플365에 대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이러한 흐름은 단지 마케팅 이벤트나 쇼룸 개념을 넘어선다. 지금 게임 업계는 ‘게임을 전시하는 공간’이 아닌, ‘게임 문화를 실시간으로 체험할 수 있는 거점’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게임 기반 콘텐츠 기업들이 성수, 한남, 도산 등 서울 트렌디한 지역에 오프라인 복합공간을 선보이거나, 플래그십 스토어를 통해 IP 기반 굿즈 판매, 체험형 이벤트, 협업 전시 등을 융합하는 방식이다. 이는 게임이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아닌,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다는 증거다.
공간 활용 방식도 과거와는 다르다. 단순한 대형 간판이 걸린 사무실의 개념을 넘어, 체험 중심 설계와 브랜드 몰입도를 높이는 내·외관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공간 자체의 감성’이 철저히 기획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실제 게임 캐릭터가 살아 숨 쉬는 듯한 세트 디자인부터, 플레이어가 주인공이 되는 몰입형 게임존, 팬을 위한 커뮤니티 라운지, 굿즈 숍과 카페, AR 기반의 미션 체험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상에서의 경험이 현실로 옮겨오는 장치이자, 브랜드 세계관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창구인 셈이다.
이와 같은 트렌드는 게임사가 단순히 게임을 '만드는 회사'가 아닌, 콘텐츠 전반을 기획하고 공간 경험을 설계하는 '문화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등장했다. 특히 젊은 오너 경영진들이 디지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랜딩 전략에 능동적이며, 장기적으로 임대보다 자산 확보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법인 명의로 건물을 매입하고, 자체 인테리어 및 콘텐츠 운영을 통해 공간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식은 패션 및 뷰티 산업의 플래그십 전략과도 궤를 같이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히 한두 회사에 그치지 않는다. 이미 여러 게임사들이 메타버스, VR, AR과 연결된 실시간 체험 공간 개발에 뛰어들고 있으며, 글로벌 팬덤 기반 굿즈 유통이나 전시형 콘텐츠 기획으로까지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게임이 가진 ‘이야기와 상상력’이 더 이상 스크린 안에만 갇히지 않고, 도시의 한복판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공간은 단지 부동산이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과 팬의 경험을 매개하는 매개체다. 게임사의 ‘공간 투자’는 단기 수익보다 장기적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고, IP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 서울 도심 곳곳에서 ‘게임이 현실이 되는 순간’들을 더 자주 목격하게 될 것이다. 게임은 더 이상 모니터 속에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는 도시의 풍경 속에서도, 게임은 살아 숨 쉬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